20250109 모각코 활동 1회차
오늘의 목표 : 연산자, 조건문, 반복문, 함수 복습
유형 | 기호 |
---|---|
덧셈 | + |
뺄셈 | - |
곱셈 | * |
지수 | ** |
나눗셈(정수) | // |
나눗셈(실수) | / |
나머지 | % |
기호 | 의미 |
---|---|
== | 두 피연산자의 값이 같으면 T |
!= | 두 피연산자의 값이 다르면 T |
> | 왼피가 오피보다 크면 T |
< | 왼피가 오피보다 작으면 T |
>= | 왼피가 오피보다 크거나 같으면 T |
<= | 왼피가 오피보다 작거나 같으면 T |
표현 | 의미 |
---|---|
A or B | AB 둘 다 F여야 F |
A and B | AB둘 다 T여야 T |
not A | 개굴개굴(청개구리라는뜻.. "아니다~") |
A 연산자 B | 예시 |
---|---|
+= | A = A + B |
-+ | A = A - B |
*= | A = A * B |
/= | A = A / B |
//= | A = A // B |
%= | A = A % B |
**= | A = A ** B |
연산자 | 의미 |
---|---|
& | AND |
` | OR |
^ | XOR |
<< | 왼쪽 시프트 |
>> | 오른쪽 시프트 |
? 시프트 ?
순위 | 연산자 |
---|---|
1 | () |
2 | ** |
3 | ~, +, - (음수, 양수) |
4 | *, /, %, // |
5 | +, - (덧셈 뺄셈) |
6 | AND (비트연산) |
7 | XOR, OR (비트연산) |
8 | <=, <, >, >= |
9 | ==, != |
10 | =, %=, /=, //=, -=, +=, *=, **= |
11 | Is, is not |
12 | In, not in |
13 | not, or, and (논리연산) |
코딩의 형태 | 특징 |
---|---|
if 조건식 : (실행할 내용의 식) elif 조건식 : (실행할 내용의 식) else: (실행할 내용의 식) |
- If는 조건에 의한 실행 구조를 알리는 예약어, - 조건식은 블록을 실행할 조건 - (실행할 내용의 식)은 조건에 따라 실행될 코드 블록이다 1. 조건식을 평가한 결과가 True 이면 실행할 내용이 실제로 실행됨. 2. 들여쓰기 반드시 해야함 3. 블록: 특정한 동작을 위해 코드가 모여있는 상태 4. 배타적 조건 : if -(if가 거짓이면)- elif -(if, elif가 거짓이면)- else 5. if문 안에 또 if문 넣기 가능 |
코딩의 형태 | 특징 |
---|---|
for i in (시퀀스형의 무언가) : (실행할 내용) |
- for은 횟수에 따른 반복 구조를 알리는 예약어. - i는 블록의 반복을 제어하는 변수. 시퀀스의 값이 차례로i에 들어가게 됨. - 시퀀스형의 무언가 : 리스트, 문자열, range() - 실행할내용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for블록 이다. |
While (조건식) : (실행할 내용) if 조건식: break |
- while은 조건에 따른 반복 구조를 알리는 예약어 - 조건식은 하위 블록을 실행할 조건. 조건식이 참일동안 반복된다. - 실행할내용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while블록이다. - while문 밖에 s=0 변수를 만들어두고 누적하여 값을 더하는 방식을 사용하면, 일정한 횟수동안 반복할 수 있다. - if 조건식을 사용해서 break를 사용해주면, 무한루프를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. |
a='abcde'=>문자열
문자열 안에 있는 개별 문자들을 추출하는 작업이 기본적. (문자열을 문자로 분해)
문자열은 인덱스로 접근 가능
인덱스(0~)/음수인덱스(-1~)
슬라이싱 : [이상:미만]
문자열 리스트 변환 : list('a')
문자열을 단어로 나누는 작업
a.split()
->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구분a.split('.')
-> '.' 을 기준으로 구분단어들을 다시 붙이는 작업
''.join(문자들)
-> 문자들이 붙음'-'.join(문자들)
-> 문자들이 -을 사용하여 붙여짐.문자열의 출현 횟수 계산
a.count('찾고싶은녀석')
문자열이 무엇으로 시작/끝 이 나는지 확인
a.startswith()
=> 시작 . 부울형으로 결과가 나옴a.endswith()
=> 끝 . 부울형 결과 나옴